반응형
Raspberry Pi 2에서 NFS 사용하여 리눅스 컴퓨터의 디렉토리 공유하기
Raspberry Pi/Raspberry Pi 활용2015. 9. 28. 02:14Raspberry Pi 2에서 NFS 사용하여 리눅스 컴퓨터의 디렉토리 공유하기

라즈베리파이2에서 컴퓨터에 설치된 리눅스의 하드공간을 NFS를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보통 삼바를 통해 윈도우의 하드를 공유하면 대부분 용량 걱정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컴파일을 하는 경우 리눅스의 디렉토리를 공유해서 사용해야 에러없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리눅스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공유 디렉토리 준비하기 먼저 공유할 디렉토리를 하나 생성합니다. webnautes@debian:~$ sudo mkdir /mnt/nfs 그리고 NFS 서버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webnautes@debian:~$ sudo apt-get install nfs-kernel-server /etc/exports파일을 열어서 webnautes@debian:~$ sudo nano /etc/exports 마지막 줄에 ..

OpenCV/OpenCV 강좌2015. 9. 24. 20:50opencv에서 2대이상의 카메라 사용하기

두 대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가져와서 화면에 뿌려주는 예제입니다. 카메라를 더 추가하려면 같은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해주면 됩니다. 카메라 연결시 다음 포스팅도 참고해보세요. https://webnautes.tistory.com/176 #include "opencv2/opencv.hpp" using namespace cv; int main(int, char**) { VideoCapture cap1(0); VideoCapture cap2(1); if (!cap1.isOpened()) { printf("첫번째 카메라를 열수 없습니다. \n"); } if (!cap2.isOpened()) { printf("두번째 카메라를 열수 없습니다. \n"); } Mat frame1, frame2; namedWindow("..

BeagleBone Black에서 커널 모듈 프로그래밍
Beaglebone Black2015. 9. 20. 09:15BeagleBone Black에서 커널 모듈 프로그래밍

uname 명령으로 비글본 블랙에 설치된 리눅스 커널 버전을 확인합니다. root@beaglebone:~# uname -a Linux beaglebone 3.8.13-bone70 #1 SMP Fri Jan 23 02:15:42 UTC 2015 armv7l GNU/Linux 현재 설치된 커널과 일치하는 헤더파일을 설치해주었습니다. root@beaglebone:~# apt-get update root@beaglebone:~# apt-cache search linux-headers-$(uname -r) linux-headers-3.8.13-bone70 - Linux kernel headers for 3.8.13-bone70 on armhf root@beaglebone:~# apt-get install linu..

Raspberry Pi/Raspberry Pi 활용2015. 9. 15. 17:09raspberry pi 2에서 bcm2835 데이터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데...

라즈베리파이2는 BCM2836칩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직까지도 데이터 시트가 못찾고 있는 가운데... 아래 사이트 내용을 번역기로 돌려서 읽어본 결과http://makezine.jp/blog/2015/02/eben-upton-raspberry-pi-2.html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한 BCM2835 칩의 데이터시트를 라즈베리파이2에서 적용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구입하면 확인을 해 봐야 겠습니다... 추가로 참고할 링크들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f=33&t=98740 http://codeandlife.com/2015/03/25/raspberry-pi-2-vs-1-gpio-benchmark/

Android에서 MSSQL DB 내용을 읽어와서 LIstview에 출력하기
Android/Android PHP MySQL 예제2015. 9. 15. 01:36Android에서 MSSQL DB 내용을 읽어와서 LIstview에 출력하기

가급적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세요. MSSQL 서버에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 암호화안된 데이터 노출될 수 도 있고.. 앱에서 소스코드를 추출하여 MSSQL 서버의 비밀번호가 노출될 수 있습니다. API21을 사용하도록 새로운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렉토리의 libs라는 하위 디렉토리에 jtds-1.2.8.jar를 복사해 넣었습니다. 왼쪽에 있는 Android를 클릭해서 Project로 바꾸고.. app하위에 있는 libs에서 jtds-1.2.8.jar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해서 나오는 메뉴에서 Add a Library를 선택합니다.(캡처는 1.3.1을 사용할떄 인데 문제가 있어서 1.2.8로 바꾸었습니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jtds/..

BeagleBone Black의 SPI 활성화 하기
Beaglebone Black2015. 9. 14. 22:37BeagleBone Black의 SPI 활성화 하기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커널의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root@beaglebone:~# uname -a Linux beaglebone 3.8.13-bone70 #1 SMP Fri Jan 23 02:15:42 UTC 2015 armv7l GNU/Linux 아래 내용으로 BB-SPI0DEV-00A0.dts 파일을 작성합니다. root@beaglebone:~# nano BB-SPI0-01-00A0.dts/dts-v1/; /plugin/; / { compatible = "ti,beaglebone", "ti,beaglebone-black"; /* identification */ part-number = "spi0pinmux"; fragment@0 { target = ; __overlay__ { spi0_pins_s..

Beaglebone Black을 USB 연결 시 인터넷 사용하기
Beaglebone Black2015. 9. 14. 22:11Beaglebone Black을 USB 연결 시 인터넷 사용하기

USB만 연결하면 비글본 블랙으로 SSH 접속이 가능해진다는 점은 매우 편리하지만 … 먼 이유에서 인지 몰라도 기본적으로는 인터넷 연결이 안됩니다.. 그래서 찾아봤더니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사이트가 있더군요.. http://www.alexschimp.com/beaglebone-black-persistent-usb-internet-connection/ http://lanceme.blogspot.kr/2013/06/windows-7-internet-sharing-for.html 윈도우에서 우선 설정을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보기를 선택합니다. 어댑터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사용중인 인터넷 연결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속성을 선택합니다. 여기에서 Linux USB..

BeagleBone Black에서  스위치 누르면 LED켜보기
Beaglebone Black2015. 9. 6. 13:28BeagleBone Black에서 스위치 누르면 LED켜보기

비글본 블랙 P8의 2번과 8번에 LED를 연결하고 10번핀에는 스위치를 아래 회로처럼 연결했습니다. 스위치를 눌러서 Gpio2_4인 10번핀에 5V가 흐르게 되면 Gpio2_3인 10번핀의 값을 5V(?)로 변경해서 LED가 켜지도록 해보았습니다. 이미지 출처 : http://www.ctrlinux.com/blog/?p=87 AM335x Sitara™ Processors데이터 시트의 Memory Map에서 확인한 GPIO2 시작 주소는 0x481AC000이고 크기는 4K입니다. GPIO를 입력으로 사용할지 출력으로 사용할지 결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레지스터로 원하는 비트를 0으로 설정하면 출력상태가 되고 디폴트 값은 입력입니다. LED가 연결되어 있는 8번핀은 출력상태로 만들고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 1..

비주얼스튜디오 2015에서 컴파일된 결과를 백업하려 했더니 용량이 커서...
MFC2015. 9. 5. 18:48비주얼스튜디오 2015에서 컴파일된 결과를 백업하려 했더니 용량이 커서...

무심코 소스코드를 압축해둘려했는데.. 너무 오래걸려서 용량을 체크해봤습니다. Debug 폴더와 ipch 폴더의 용량이 꽤 되더군요... http://yunei.tistory.com/6에 나온대로 ipch 폴더는 소스코드 폴더 내가 아닌 다른 임시 폴더로 이동시켜버렸습니다. Debug 폴더가 큰것은 정적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도록 컴파일해서 그런가 싶지만.. 실행파일만 뺴고 나머지는 지우는 쪽으로....

64비트 컴퓨터에 설치된 Visual Studio 2015로 32비트용 실행파일 컴파일하기
MFC2015. 9. 5. 13:0964비트 컴퓨터에 설치된 Visual Studio 2015로 32비트용 실행파일 컴파일하기

[프로그래밍/mfc] - 64비트 컴퓨터에 설치된 Visual Studio 2013으로 32비트용 실행파일 컴파일하기 글을 올리고 우연찮게 2015가 나온것을 발견해서.. 똑같이 하려는데 dll 문제가 발생해서(윈도우 8.1에 설치된 system32에 있는 dll로는 인식이 안되서 지난번처럼 dll 사이트에서 따로 32비트용 올려진 걸 다운로드 받으려 했더니 없더군요) 그래서 공유라이브러리가 아닌 정적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도록 설정해서 컴파일했더니 해결되는 군요... 우선 C/C++ - 코드 생성 - 런타임 라이브러리를 다중 스레드 디버그( /MTd)로 변경해주고...공유 DLL파일을 안쓰니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안바꾸어주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참고: http://stackoverflow.co..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