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 Learning & Machine Learning/강좌&예제 코드

faiss 사용법 및 예제 코드

webnautes 2023. 10. 7. 06:24
반응형

FAISS (Facebook AI Similarity Search)의 사용법 및 예제 코드입니다. FAISS는 Facebook AI에서 개발한 라이브러리로 대규모 데이터셋에 대한 빠른 유사도 검색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2023. 10. 03 최초작성



from sentence_transformers import SentenceTransformer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import faiss


df = pd.DataFrame([[0, 'I like a apple.'], [1, 'I like a orange.'], [2, 'I like a banana.'], [3, 'I like a pineapple.'], [4, 'I like a melon.']], columns=['id', 'text'])

# 데이터 프레임은 shape가 (5, 2)입니다. 5개의 인덱스와 5개의 문자열로 구성됩니다.
# print(f'{df.shape}')

print(df)
print()


# 문자열을 임베딩 벡터로 변환하기 위해 Sentence Transformer를 사용합니다.
model = SentenceTransformer('distilbert-base-nli-stsb-mean-tokens')


# 데이터프레임 df의 text 컬럼에 있는 문자열을 인코딩합니다.
texts = df.text.values.tolist()
embeddings = model.encode(texts)

# 5개의 문자열이 저장된 리스트는 shape가 (5, 768)인 벡터로 변환됩니다.
# print(embeddings.shape)

# (768,) 벡터 하나는 크기 768인 1차원 벡터입니다.
# print(embeddings[0].shape)

# df의 text 컬럼에 있는 텍스트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저장합니다.
df_to_index = df.set_index(["id"], drop=False)
id_index = np.array(df_to_index.id.values)

normalized_embeddings = embeddings.copy()

# normalized_embeddings의 벡터를 L2 Norm(유클리드 거리 기준)으로 정규화합니다.
# 이렇게 함으로써, 벡터의 길이를 1로 만들어 줍니다. 이것은 내적 기반의 유사도 검색에서 중요한 절차입니다.
# 왜냐하면 정규화된 벡터들 사이의 내적은 두 벡터의 코사인 유사도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faiss.normalize_L2(normalized_embeddings)

# faiss.IndexFlatIP는 faiss에서 제공하는 인덱싱 방법 중 하나로, 벡터들 간의 내적(inner product)을 기반으로 유사도 검색을 수행합니다.
# 여기서 len(embeddings[0])는 임베딩 벡터의 차원수를 의미합니다.
index_flat = faiss.IndexFlatIP(len(embeddings[0]))

# faiss.IndexIDMap는 다른 인덱스 객체(여기서는 index_flat)와 함께 사용되어,
# 벡터를 추가할 때 해당 벡터에 특정 ID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검색 시 벡터 대신 해당 벡터의 ID를 반환받을 수 있습니다.
index = faiss.IndexIDMap(index_flat)

# normalized_embeddings에 있는 벡터들을 index에 추가하면서, 각 벡터에 대한 ID를 id_index에서 가져와 함께 저장합니다.
index.add_with_ids(normalized_embeddings, id_index)


# 쿼리 함수를 정의합니다.
def search(query, k):

  # 쿼리도 앞에서 한것과 똑같이 인코딩하여 벡터로 변환하고 정규화 해야 합니다.
  vector = model.encode([query])
  faiss.normalize_L2(vector)

  # k개 검색결과를 얻습니다. 인덱스와 유사도를 리턴받습니다. 
  similarities, ids = index.search(vector, k)
 
  ids = ids[0]
  similarities = similarities[0]

  print(f'Query: {query}')
  print()

  results = df_to_index.loc[ids]  # id와 text 컬럼으로 구성된 데이터프레임에서 인덱스 ids를 위한 값을 가져옵니다.
  results['similarity'] = similarities   # 해당 값과 쿼리 사이의 유사도입니다.
 
  return results.reset_index(drop=True)


# search 함수에 쿼리할 문자열과 리턴받을 검색 결과 개수를 적어줍니다.
print(search('apple', 1))
print()

print(search('pineapple', 3))
print()

print(search('banana', 5))
print()




실행 결과입니다.

 

5개의 문장이 주어지며 각 문장에 id가 부여됩니다.

  id                 text
0   0      I like a apple.
1   1     I like a orange.
2   2     I like a banana.
3   3  I like a pineapple.
4   4      I like a melon.





쿼리로 사용한 단어와 유사하다고 검색된 문장들의  유사도를 보여줍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유사한 것입니다.

Query: apple

   id             text  similarity
0   0  I like a apple.    0.714879


Query: pineapple

   id                 text  similarity
0   3  I like a pineapple.    0.742127
1   0      I like a apple.    0.336482
2   2     I like a banana.    0.311522


Query: banana

   id                 text  similarity
0   2     I like a banana.    0.695340
1   0      I like a apple.    0.380851
2   3  I like a pineapple.    0.306810
3   4      I like a melon.    0.244388
4   1     I like a orange.    0.23434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