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파이를 처음 사용하기 위해 해줘야 하는 것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Raspberry Pi 4를 사용하여 진행했습니다.
1. Micro SD 카드에 라즈비안 이미지 라이팅(writing) 2. SSH 활성화 3. 라즈베리파이 사용하는 방법 4. 라즈베리파이에 할당된 IP 확인 5. SSH 클라이언트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에 접속 6. 처음 사용할 때 필요한 라즈비안 설정( raspi-config) 7. 관련 포스팅 7.1. Raspberry Pi 4 무선랜(WiFi) 설정 방법 7.2. Raspberry Pi 4를 VNC로 접속하여 원격 제어하는 방법 |
2016. 4. 10 최초작성
2020. 8. 22 바뀐 설치 방법 적용
2020. 11. 22 최종 작성
2021. 2. 3 Raspberry Pi 4로 진행
1. Micro SD 카드에 데비안 이미지 라이팅(writing)
1-1. Raspberry Pi OS를 Micro SD 카드에 인스톨하기 위해 사용할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윈도우, 맥, 리눅스 용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www.raspberrypi.org/software/
라즈베리파이를 위한 운영체제를 선택하면 다운로드하여 Micro SD카드에 기록까지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PC에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윈도우용을 설치하여 진행합니다.
1-2. Raspberry Pi Imager를 실행합니다. 윈도우 키를 누르고 raspberry를 입력하여 Raspberry Pi Imager를 실행합니다.
1-3. CHOOSE OS를 클릭하고
Raspberry Pi OS (32-bit)를 선택합니다.
CHOOSE SD CARD를 클릭하고
Micro SD카드를 선택해줍니다.
MiacroSD카드를 USB 어댑터에 꽂아서 PC에 연결했다면 다음처럼 뜹니다.
WRITE를 클릭합니다.
YES를 클릭합니다.
운영체제가 Micro SD카드에 설치되기 시작합니다.
완료된 후.. SSH 접속을 하기 위해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2. SSH 활성화
2-1. 2016년 11월 25일 이후, 릴리즈된 라즈비안(현재는 데비안으로 이름이 변경)은 보안상 이유로 디폴트로 SSH가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를 연결해서 해도 되지만 PC에서 간단하게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Micro SD 카드를 PC에서 뺐다가 다시 연결하세요.
그러면 이름이 boot인 드라이브가 보입니다.
2-2. 아래 화면처럼 cmdline과 config 텍스트 파일의 확장자가 안보인다면 폴더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2-3. 보기 탭의 파일 확장명을 체크하면 comline.txt와 config.txt로 확장자가 보이게 됩니다.
2-4. 파일 목록 빈공간에서 마우스 우클릭하여 보이는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를 선택합니다.
새 텍스트 문서.txt 이름의 텍스트 파일이 생성됩니다.
파란색으로 블럭된 상태에서 Delete 키를 눌러 이름을 지우고 ssh라 입력하고 엔터를 입력합니다.
새 텍스트 문서.txt 이름을 한번 클릭하고 F2키를 눌러도 파란색 블록된 상태로 됩니다.
ssh 파일이 생성되면 이제 라즈베리파이로 ssh 접속이 활성화 됩니다.
마이크로 SD카드를 PC에서 제거하기 전에 USB 메모리를 뺄 때하듯이 안전한 제거를 클릭한 후 해주세요.
ssh 파일이 실제로 마이크로 SD카드에 기록되지 않아서 나중에 SSH 연결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다시 Micro SD카드를 연결하여 ssh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한 후,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하세요.
3. 라즈베리 파이 사용하는 방법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하여 컴퓨터처럼 사용
-
컴퓨터에서 라즈베리파이에 SSH 터미널 혹은 VNC 접속하여 사용
여기에서는 두 번째 방법을 설명합니다.
컴퓨터와 라즈베리파이가 같은 네트워크(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라즈베리파이에 Micro SD 카드를 연결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USB 케이블과 랜선을 연결하면 준비가 완료됩니다. .
4. 라즈베리파이에 할당된 IP 확인
4-1. 윈도우키 + R을 누르고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4-2. ipconfig를 사용하여 현재 사용중인 PC의 아이피를 확인합니다.
4-3. 다음 링크에서 Advanced IP Scanner를 다운로드하고 실행합니다.
https://www.advanced-ip-scanner.com/index2.php
실행을 체크하고 실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4-4. 체크할 아이피 대역을 입력합니다.
4-2에서 확인한 PC의 아이피가 192.168.25.5라면 192.168.25.1-255를 입력하고 스캔을 클릭합니다.
4-5. 검색된 목록에서 제조업체가 Raspberry Pi Foundation인 것이 라즈베리파이의 IP입니다.
여기에서는 192.168.25.15입니다.
두 번정도 반복해서 스캔해야 라즈베리파이가 보이는 듯합니다.
Raspberry Pi 4에서 해보니 첨에는 안잡히다가 랜선을 다시 꽂아보니 다음처럼 꺼짐상태로 192.168.25.33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제조업체 이름도 보이지 않는군요.
확실히 Raspberry Pi의 아이피를 확인하는 방법은 모니터를 연결하거나 공유기의 설정페이지에서 확인하는 방법인 듯합니다.
우분투 리눅스에서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라즈베리파이의 아이피를 알아내어 SSH로 접속하는 과정을 다음 포스팅에 설명해놓았습니다.
Ubuntu Linux -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중인 IP 조회하기 |
5. SSH 클라이언트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에 접속
SSH를 지원하는 윈도우용 터미널 프로그램 중 MobaXterm이 괜찮은 듯 싶습니다.
많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PuTTY에 비해 유저 인터페이스가 잘되어 있습니다.
MobaXterm을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에 SSH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http://mobaxterm.mobatek.net/download-home-edition.html 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새로운 연결을 추가하기 위해 툴바 왼쪽에 위치한 Session을 클릭합니다.
연결할 타입으로 왼쪽 위에 있는 SSH를 클릭하고 Remote host에 앞에서 확인한 Raspberry Pi 아이피를 적어줍니다.
Specify username을 체크하고 디폴트 사용자인 pi를 적어줍니다.
OK 버튼을 클릭하면 Raspberry Pi로 SSH 접속이 됩니다.
디폴트 사용자인 pi를 이미 적어주었기 때문에 터미널에선 바로 패스워드만 물어봅니다.
디폴트 패스워드인 raspberry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패스워드를 저장할지 물어보는 메시지 박스가 보여집니다.
Yes를 클릭하면 접속할 때 마다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전과 달리 마스터 패스워드를 정해야 해서.. 저는 No를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비밀번호를 저장하려면 마스터 패스워드를 정해야 합니다.
접속 완료 후, 접속관련 정보를 보여주고 나서 Raspberry Pi의 접속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왼쪽에는 Raspberry Pi의 디렉토리와 파일을 보여줍니다.
윈도우 탐색기처럼 파일 및 디렉토리를 다룰 수 있으며, 동영상이나 이미지, 텍스트 파일 등을 윈도우 설치된 프로그램으로 연결하여 볼 수 있게 해줍니다.
한번 입력한 접속 정보는 자동으로 저장되며 Sessions 탭에서 클릭시 접속이 이루어집니다.
6. 처음 사용할 때 필요한 라즈비안 설정(raspi-config)
1. 처음 사용할 때 라즈베리파이 설정 도구 raspi-config를 실행하여 설정해야 하는 항목들을 설명합니다.
System Options를 선택합니다.
라즈베리파이의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해 Password를 선택합니다.
이후 선택하라는 말이 나오면 화살표 키를 사용하여 원하는 항목으로 이동 후 엔터를 입력하면 됩니다.
가급적이면 디폴드 패스워드인 raspberry를 다른 것으로 변경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엔터를 누릅니다.
새로운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똑같은 패스워드를 두 번 입력해야 합니다.
패스워드가 변경되었습니다. 엔터를 누릅니다.
표준시간대를 변경하기 위해 Localisation Options를 선택합니다.
변경해줘야 라즈베리파이에서 올바른 시간이 보입니다.
Timezone을 선택합니다.
참고로 WLAN Country를 변경하면 WIFI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바꾸지 않는게 좋습니다.
Asia를 선택합니다.
빨리 찾기 위해 s를 한번 누르고 Seoul를 선택합니다.
시간대가 Asia/Seoul로 변경됩니다.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하려면 Interfacing Options을 선택합니다.
Camera, SPI, I2C, Serial, 1-Wire등을 사용시 해당 항목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면 됩니다.
지금은 해줄 필요가 없습니다.
Micro SD 카드 전체 공간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하기 위해 Advanced Options을 선택합니다.
Micro SD 카드 전체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Expand Filesystem을 선택합니다.
안해주면 Micro SD 카드 전체 공간을 다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정 크기 파티션으로 구성된 이미지 파일을 가지고 Micro SD 카드에 라이팅했기 떄문입니다.
엔터를 누릅니다. 라즈베리파이가 재부팅되야 변경된 파티션 크기가 적용됩니다.
이제 초기화면에서 Finish를 선택합니다.
Yes를 선택하면 SSH 연결이 끊어지게 됩니다.
라즈베리파이가 부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접속하면 됩니다.
재부팅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이 15초 정도인듯합니다.
이제 라즈베리 파이를 사용할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
7. 관련 포스팅
7.1. Raspberry Pi 4 무선랜(WiFi) 설정 방법
Raspberry Pi 4에 내장된 무선랜(WiFi)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방법에 대해서 다룹니다.
http://webnautes.tistory.com/903
7.2. Raspberry Pi 4를 VNC로 접속하여 원격 제어하는 방법
데스크톱 환경(GUI)으로 Raspberry Pi 4에 원격 접속하시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http://webnautes.tistory.com/549
'Raspberry Pi > 기본 사용 방법 & WiFi & VNC'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pberry Pi 4를 VNC로 접속하여 원격 제어하는 방법 (48) | 2021.02.04 |
---|---|
Raspberry Pi 4 에서 무선랜(WiFi) 설정하는 방법 (39) | 2021.02.04 |
Raspberry Pi 4 처음 사용하기 (76) | 2021.02.03 |
포스트 작성시에는 문제 없었지만 이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질문을 남겨주면 가능한 빨리 답변드립니다.
여러분의 응원으로 좋은 컨텐츠가 만들어집니다.
지금 본 내용이 도움이 되었다면 유튜브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유튜브 구독하기
제가 쓴 책도 한번 검토해보세요 ^^
- 이전 댓글 더보기
-
-
안녕하세요 2018.10.17 18:15
오늘 라즈비안 2018 /10/9 꺼로 깔고 opencv 다시 깔고 해보니까 제대로 되네요
제가 저번에 6/24일꺼인가 그거가 문제였을까요... 저번에도 몇번 라즈비안 다시 깔고 했었는데
안되었는데 다행히 되네요 -
닉네임 2019.04.27 19:46
잘 보았습니다. 허나 집에 와이파이가 없는 탓에 모바일 핫스팟을 쓰려고 하는데 이 경우 모니터 없이 설정할수는 없나요? 설명해주는 문서가 없어서 댓글 남겨봅니다.
-
-
-
ㅜㅜ 2019.08.22 02:13
4-1로 확인해보았지만 할당받은 ip가 없어 4-2 방법으로 해보았는데, pi가 뜨지 않습니다 ㅜㅜ sd카드 문제일까요?
-
-
-
-
장지원 2019.11.01 04:26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ssh파일도 생성됬고 라즈베리파이ip도 확인할수있어서 mobaXterm에서 접속할려고하는데 계속 Network error: Connection refused라고 뜨고 접속이 안되는데 혹시 어떻게 해야되는지아시나요ㅜㅜㅜ?
-
-
혹시 다음처럼 나온다면
Session stopped
- Press <return> to exit tab
- Press R to restart session
- Press S to save terminal output to file
라즈베리파이에 네트워크 연결이 안되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명령으로 ping이 되는지 확인해보세요
ping -4 raspberrypi.local
라즈베리파이가 사용중인 네트워크가 공유기라면 공유기 설정에서 아이피를 할당받았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
-
A 2019.12.09 02:43
C:\Users\hseo1>ping raspberripi.local<-명령어
Ping request could not find host raspberripi.local. Please check the name and try again.<-오류 메세지
어떻게 해야될까요???;;
-
A 2019.12.10 07:51
라즈베리와이파이는 찾은거 같은데요 그래서 그 와아파이 주소를 cmd에 넣으면
C:\Users\hseo1>ping 169.254.16.54
Pinging 169.254.16.54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69.254.245.10: Destination host unreachable.
Reply from 169.254.245.10: Destination host unreachable.
Reply from 169.254.245.10: Destination host unreachable.
Reply from 169.254.245.10: Destination host unreachable.
Ping statistics for 169.254.16.54:
Packets: Sent = 4, Received = 4, Lost = 0 (0% loss),
이렇게 호스트에 리치할수없다고 나와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무리 찾아도 라즈베리파이접속한상태에서만 솔루션이있고(물론 그것도 솔류션인지 아닌지는 몰라요) mobaxterm은 우선 이게 해결되야 터미널을 쓸수있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이거에 발목 잡힐줄이야;;
-
-
오리오리너구리 2020.02.13 19:04
좋은 글 정말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지식이 부족한지라 이해가 잘 안돼서 질문 드립니다.
1. 라즈베리파이에 랜선을 연결하셨는데 어디와 연결한건가요?
2. 제가 카페에서 공부하는 경우가 많아서 카페에서 ssh연결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
cwan 2020.04.09 02:17
(저는 공유기에 연결하기에는 상황이 여의치 않아서,)
노트북과 RPi를 직접 LAN 유선연결하였는데,
이 상황에서 cmd 창에서 ping raspberrypi.local 실행시 Timeout이 뜨는 분들은
연결된 무선 LAN을 끄고 (매우 중요)
다시 위 명령어를 실행시켜보면 IP 주소가 나올 것입니다.
그때 뜨는 ip가 실제 RPi에 저장된 IP입니다.
이 IP 저장해두고서 MobaXterm로 접속하시면 잘 되실 것입니다.
저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하실 분들이 있을 것 같아서, 공유해봅니다. -
안녕하세요. 글 너무나 잘봤습니다.
라즈베리 파이4 모델 B를 (8GB) + Coral 을 이용해서 물체 검출을 할려고 합니다
텐서플로라이트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여기서 질문이 있는데요.
1. 유선인터넷 연결에 제약이 있어 유선인터넷 없이 무선을 연결하는 방법이 없는지요?
2. 윈도우 가상환경(리눅스) 말고 리눅스에서만 작동을 하는건가요?
3.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서 모바일넷이나 욜로를 이용해서 물체검출을 한 경험이 있으시면 조언같은것좀 얻을수 있을까요?
4. 제가 생각하는 디자인 1) 라즈베리 파이 셋업 2) 라즈베리 파이에 모델 및 코드 넣기 3)실시간 구동
이렇게 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라즈베리 파이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
-